메뉴 건너뛰기

Karma's Place

로그인하지 않고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본사이트의 취지에 맞지않는 댓글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민속식물 및 파이토테라피
2021.09.10 04:00

역사를 함께한 회화나무

조회 수 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역사를 함께한 회화나무

 

집근처나 길가에 큰나무가 있으면 큰 그늘을 만들어주고 사람들이 모여서 한여름의 더위를 피하는 정자 구실을 한다. 이런 나무를 정자나무라 하고 농경사회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곳이다.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모여서 의논도 하고 휴식과 놀이를 할 수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때로는 마을의 병마와 액운을 없애는 기도와 축원을 드리는 신목(神木) 역할을 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정자나무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수종은 느티나무이다.
대략 정자나무의 80% 정도가 느티나무라고 한다. 정자나무의 역할을 하려면 나무가 커야하고 큰 나무로 가장 빨리 자라는 수종이 느티나무이기 때문일 것이다. 팽나무와 은행나무가 주로 이용되지만 더러는 모과나무, 이팝나무, 수양버들, 소태나무 등이 이용되기도 한다.
옛날 사대부집안에서 집안에 심던 정자목의 대표적인 수종은 회화나무이다.


회화나무는 국내에 자생하는 나무는 아니고 중국에서 도입된 수종이다. 회화나무를 집안에 심으면 집안이 번성하고 큰학자나 큰인물이 나온다해서 흔히 심었다고 한다.
학자수(學者樹)라고 불리우며 영어로도 학자나무(scholar tree)로도 불린다. 과거에는 궁궐에도 많이 심었고 임금이 신하들에게 하사하기도 했다고 한다.
예전에는 학당 마당에 심었었고 근대에는 각급 학교의 경내에 회화나무를 심어 가꾸기도 했다.
회화나무는 집안의 당산나무로 그 집안의 오랜 역사와 함께 하는 경우가 많다.

중국 북경의 경산공원의 회화나무는 흔히 죄많은 회화나무(罪槐 : The Guilty Chinese Scholartree)라고 불리운다. 명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숭정제가 목메어 자살했던 장소이기 때문이다. 회화나무가 황제의 흥망성쇠를 함께 했다고는 하지만 회화나무가 무슨 죄란 말인가?
서산의 해미읍성에는 충청남도 기념물 제17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호야나무가 있다. 호야나무는 회화나무의 충청도 사투리이고 이 회화나무에는 아픔의 흔적이 많이 남아있다.
71388_51233_286.jpg
해미읍성은 1790년부터 100년동안 1000여명의 천주교도들이 투옥 및 처형을 당했던 가슴아픈 사연을 간직한 장소로 현재는 천주교 순교성지로 더 유명한 장소이다.
이곳의 300년된 회화나무는 수많은 천주교인들의 죽음을 함께 했을 것이다. 실제로 회화나무에 철사를 걸어서 천주교인들을 목매달았던 흔적이 아직도 남아 있다고 한다.
회화나무의 꽃인 괴화(槐花)에서 추출한 성분은 각종 효능을 내는 한약재로 이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천연농약 살충제로도 이용되고 있다.

회화나무은 키가 30미터까지 자라는 키큰교목이다. 콩과식물의 나무인지라 잎모양은 아카시나무와 비슷하지만 어린줄기는 초록색이다. 7~8월에 담황백색의 콩꽃이 피고 9~10월이면 나무가지에 잘록잘록한 콩꼬투리가 달린다.
과습지만 피하면 생장이 빠르고 공해와 매연에 강한 수종이라 도심지의 가로수로 각광받는 수종이다. 무엇보다도 회화나무는 키가 크게 자라서 큰 그늘을 만들기는 하지만 가지치기만 잘해주면 도심상권의 주민들이 꺼리는 간판을 가리지 않는 수종이다.

대한민국 유일무이하게 가로수가 없는 청양 시가지에 회화나무 가로수를 적극 추천한다.
그리하여  청양이 쾌적한 동네가 되고 또 번영하며 큰 인물이 나오지 않을까?

 

상기 내용은 지역신문인 청양신문(http://www.cynews.co.kr)에 투고했던 내용입니다.

http://www.c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388

?

  1. 약초이야기 - 두릅, 개두릅, 땅두릅

    날이 풀리기 시작하면 시장에 가장 먼저 나오는 나물 중 하나가 두릅나물이다. 가시가 많아서 자생상태에서 채취가 쉽지 않지만, 최근에는 대목을 삽목하는 방식으로 수경재배를 해서 생산하기 때문에 노지보다 훨씬 일찍 출하가 시작된다. 독특한 향과 쌉싸름...
    Date2021.09.18 Category민속식물 및 파이토테라피 Views120
    Read More
  2. 모기 잡는 풀 제충국

    모기 잡는 풀 제충국 모기가 극성을 부리는 계절 여름이 머지않았다. 우리동네 모기들은 크기는 작은데 매섭기가 말도 못하게 매섭다. 워낙 모기에 민감한 체질이다보니 여러사람이 한공간에 있는데도 유독 나만 모기를 타는 편이다. 잠자다가도 모기소리만 들...
    Date2021.09.13 Category민속식물 및 파이토테라피 Views302
    Read More
  3. 역사를 함께한 회화나무

    역사를 함께한 회화나무 집근처나 길가에 큰나무가 있으면 큰 그늘을 만들어주고 사람들이 모여서 한여름의 더위를 피하는 정자 구실을 한다. 이런 나무를 정자나무라 하고 농경사회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곳이다.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모여서 의논도 하고...
    Date2021.09.10 Category민속식물 및 파이토테라피 Views55
    Read More
  4. 소태같이 쓴나무 소태나무

    소태같이 쓴나무 소태나무 유기농식품의 생산은 물론 유통 및 표시까지를 규정한 코덱스가이드라인이라는 규범이 있다. 세계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보건기구(WHO)가 합동으로 만든 위원회에서 만들어낸 가이드라인이다. 인간의 건강과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
    Date2021.09.03 Category민속식물 및 파이토테라피 Views525
    Read More
  5. 느삼, 너삼, 고삼, 그리고 살충제

    지역신문인 청양신문에 기고한 내용입니다. http://www.c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281 할미꽃이 살충제로 이용된다는 이야기를 꺼낸 김에 유기농에서 없어서는 안 될 식물 하나를 더 소개하고자 한다. 몇 년 전 작은 아버지들이 아버님을 찾...
    Date2021.08.15 Category민속식물 및 파이토테라피 Views38
    Read More
  6. 할미꽃, 백두옹 그리고 살충제

    내용은 지역신문인 청양신문에 기고한 내용입니다. http://www.c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229 김순제 제통의원 원장/ 인터넷 식물도감 ‘풀베개’ 운영자 봄이면 무덤가에 부끄러운 듯 고개를 숙이고 피어있는 할미꽃은 손녀들을 힘들게 키워 ...
    Date2021.08.15 Category민속식물 및 파이토테라피 Views73
    Read More
  7. 헤이즐넛 커피와 개암나무

    국가마다 다른 커피취향 국가마다 입맛이 다르고 식성이 다르듯이 주로 판매되는 커피의 맛도 가지각색인 듯하더군요. 태국의 일류호텔 커피맛은 우리나라 1970년의 다방에서 팔던 꽁피(꽁초커피)맛과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았었습니다. 색은 진하고 향은 약하...
    Date2016.05.25 Category식물탐사 및 자생지 Views354
    Read More
  8. 남산제비꽃이 아니라 길오랑캐와 길오징이나물

    길오징이나물 얼마전 길오징이나물이라는 제비꽃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지만 건성 들어넘겼었다. 하지만 한가지 마음에 걸리는 것이 길오징이나물의 학명이라는 Viola sieboldiana 또는 Viola chaerophylloides var. sieboldiana (Maximowicz) Makino 가 영 ...
    Date2011.05.09 Category식물분류 및 동정 Views10907
    Read More
  9. 흰제비꽃과 제비꽃흰색꽃

    하얀색의 제비꽃 흔히 흰제비꽃을 제비꽃이 하얗게 핀 것으로 생각들을 많이 하는 것같습니다. 일반적으로 모든 식물은 흰꽃을 피우는 것들이 있습니다. 색소를 생성하는 유전자의 결함으로 일종의 백색증(albino) 개체입니다. 이런 식물은 대개 학명 뒤에 흰...
    Date2011.05.10 Category식물분류 및 동정 Views15751
    Read More
  10. 오랑캐꽃과 제비꽃

    오랑캐꽃 제비꽃의 원래 이름은 오랑캐꽃이었습니다. 식물분류학회에서 공식적으로 국명변경을 처음 의결했던 식물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대개는 민간에서 흔히 부르는 이름을 국명으로 정하지만 예쁜 꽃에 험악한 분위기의 오랑캐꽃이라는 이름이 붙어있으...
    Date2011.04.28 Category식물탐사 및 자생지 Views4602
    Read More
계속 검색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위로